본문 바로가기
정처기 실기

정처기 실기 소프트웨어 개발 보안구축

by 별보는 개발자 2023. 4. 13.

SW 개발 보안 : 소스 코드 등에 존재하는 보안 취약점을 제거하고 보안을 고려하여 기능을 설계 및 구현하는 등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지켜야 할 일련의 보안 활동

 

정보보안의 세가지 요소 : 기밀성, 무결성, 가용성 - 기무가

 

기밀성 : 인가되지 않은 개인 혹은 시스템 접근에 따른 정보 공개 및 노출을 차단하는 특성

무결성 : 정당한 방법을 따르지 않고선 데이터가 변경될 수 없으며, 데이터의 정확성 및 완전성과 고의 악의로 변경되거나 훼손 또는 파괴되지 않음을 보장하는 특성 

가용성 : 권한을 가진 사용자나 애플리케이션이 원하는 서비스를 지속 사용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특성, 인가된 사용자는 가지고 있는 권한 범위 내에서 언제든 자원 접근이 가능해야 하는 특성

 

DOS 공격 : 시스템을 악의적으로 공격해서 해당 시스템의 자원을 부족하게 하여 원래 의도된 용도로 사용하지 못하게 하는 공격, 특정 서버에게 수많은 접속시도를 만들어 다른 이용자가 정상적으로 서비스 이용을 하지 못하게 하거나 서버의 TCP 연결을 소진시키는 등의 공격

 

 - SYN 플러딩 : TCP 프로토콜의 구조적인 문제를 이용한 공격, 서버의 동시 가용 사능자 수를 SYN 패킷만 보내 점유하여 다른 사용자가 서버를 사용 불가능하게 하는 공격

 - UDP 플러딩 : 대량의 UDP 패킷을 만들어 임의의 포트 번호로 전송하여 응답 메세지를 생성하게 하여 지속해서 자원을 고갈시키는 공격

 - 스머프(스머핑) : 출발지 주소를 공격대상의 IP로 설정하여 네트워크 전체에게 ICMP Echo 패킷을 직접 브로드캐스팅하여 마비시키는 공격

 - 죽음의 핑 : ICMP 패킷을 정상적인 크기보다 아주 크게 만들어 전송하면 다수의 IP단편화가 발생하고 수신측에서는 단편화된 패킷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많은 부하가 발생하거나 재조합 버퍼의 오버플로우가발생하여 정상적인 서비스를 하지 못하도록 하는 공격기법

 - 랜드어택 : 출발지 IP와 목적지 IP 를 같은 패킷 주소로 만들어 보냄으로써 수신자가 자기 자신에게 응답을 보내게 하여 시스템의 가용성을 침해하는 공격기법

 

DDOS 공격 : 여러대의 공격자를 분산배치하여 동시에 동작하게 함으로써 특정 사이트를 공격하는 기법

 

DRDos공격 : 공격자는 출발지 IP를 공격대상 IP 로 위조하여 다수의 반사 서버로 요청정보를 전송, 공격대상자는 반사 서버로부터 다량의 응답을 받아서 서비스 거부가 되는 공격

 

세션 하이재킹 : 케빈 미트닉이 사용했던 공격방법 중 하나로 TCP 의 세션관리 취약점을 이용한 공격기법

 - 특징 : TCP의 보안상 취약점으로 발생

 - 탐지방법 : 비동기화 상태 탐지, ACK 패킷 비율 모니터링

 

 

애플리케이션 공격

 

HTTP GET 플러딩 : 과도한 Get 메세지를 이용하여 웹 서버의 과부하를 유발시키는 공격, Cache Control Attack 공격

Slowloris : HTTP Get 메서드를 사용하여 헤더의 최종 끝을 알리는 개행 문자열인 \n\n\n\n을 전송하지 않고 \r\n만 전송하여 대상 웹 서버와 연결상태를 장시간 지속시키고 연결자원을 모두 소진시키는 서비스 거부 공격

 

네트워크 공격

스니핑 : 공격대상에게 직접 공격을 하지 않고 데이터만 몰래 들여다보는 수동적 공격

네트워크 스캐너, 스니퍼 : 네트워크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구성의 취약점 파악을 위해 공격자가 취약점을 탐색하는 공격도구

IP 스푸핑 : 침입자가 인증된 컴퓨터 시스템인 것처럼 속여서 타깃 시스템의 정보를 빼내기 위해서 본인의 패킷 헤더를 인증된 호스트 IP 어드레스로 위조하여 타기셍 전송하는 공격기법

ARP스푸핑 : 공격자가 특정 호스트의 MAC주소를 자신의 MAC 주소로 위조한 ARP Reply를 만들어 희생자에게 지속적으로 전송하여 희생자의 ARP Cache Table에 특정 호스트의 MAC 정보를 공격자의 MAC 정보로 변경

트로이목자 : 악성 루틴이 숨어있는 프로그램으로 겉보기에는 정상적인 프로그램으로 보이지만 실행하면 악성 코드를 실행하는 프로그램

====================

 

버퍼 오퍼블로우 공격 : 메모리에 할당된 버퍼 크기를 초과하는 양의 데이터를 입력하여 이로 인해 프로세스의 흐름을 변경시켜서 악성 코드를 실행시키는 공격기법

 - 스택버퍼 오버플로우 공격

 - 힙 버퍼 오버플로우 공격

 

버퍼 오버플로우 공격 대응 방안

스택가드

스택쉴드

ASLR 활용

안전한 함수 활용

 

백도어 : 어떤 제품이나 컴퓨터 시스템, 암호시스템 혹은 알고리즘에서 정상적인 인증 절차를 우회하는 기법

====================

 

 보안관련 용어

 

스미싱 : SMS와 피싱의 합성어, 문자메세지를 이용하여 신뢰할 수 있는 사람 또는 기업이 보낸 것처럼 가장하여 개인 비밀번호를 요구하거나 휴대폰 소액 결제를 유도하는 피싱 공격

 

큐싱 :  큐알코드와 피싱의 합성어

봇넷 : 악성 프로그램에 감염되어 악의적인 의도로 사용될수있는 다수의 컴퓨터들이 네트워크로 연결된 형태

APT 공격 : 특정 타깃을 목표로 하여 다양한 수단을 통한 지속적이고 지능적인 맞춤형 공격기법

웜 : 스스로를 복제하여 네트워크 등의 연결을 통하여 전파하는 악성 소프트웨어 컴퓨터 프로그램

랜섬웨어 : 악성 코드의 한 종류로 감염된 시스템의 파일들을 암호화하여 복호화할 수 없도록 하고 피해자로 하여금 암호화된 파일을 인질처럼 잡고 몸값을 요구

 

=====================

 

서버인증 : 다중 사용자 시스템과 망 운영 시스템에서 접속자의 로그인 정보를 확인하는 보안 절차

인증 기술의 유형 : 지소생특

지식기반 인증 : 사용자가 기억하고 있는 지식

소지기반 인증 :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 물품

생체기반 인증 : 고유한 사용자의 생체 정보

특징 기반인증 : 사용자의 특징을 활용

 

 

서버 접근 통제 : 사람 또는 프로세스가 서버 내 파일에 읽기, 쓰기, 실행 등의 접근 여부를 허가하거나 거부하는 기능

서버 접근 통제 유형

임의적 접근 통제(DAC) : 주체나 그룹의 신분에 근거하여 객체에 대한 접근을 제한하는 방법

강제적 접근 통제(MAC) : 객체에 포함된 정보의 허용등급과 접근 정보에 대하여 주체가 갖는 접근 허가 권한에 근거하여 객체에 대한 접근을 제한하는 방법

 

3A : 

인증

권한부여

계정관리

 

SSO : 커버로스에서 사용되는 기술로 한 번의 인증 과정으로 여러 컴퓨터에상의 자원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인증 기술

커버로스 : 1980년대 중반 MIT의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개발, 클라이언트 서버 모델에서 동작하고 대칭 키 암호기법에 바탕을 둔 티켓 기반의 프로토콜

 

==============

 

암호 알고리즘 개념 : 데이터의 무결성 및 기밀성 확보를 위해 정보를 쉽게 해독할 수 없는 형태로 변환하는 기법

 

대칭 키 암호화 알고리즘

DES : 1975년 IBM에서 개발하고 미국의 연방 표준국에서 발표한 대칭키 기반의 블록 암호화 알고리즘, 블록크기는 64bit, 키 길이는 56bit인 페이스텔 구조, 16라운드 암호화 알고리즘

 

SEED : 1999년 국내 한국인터넷 진흥원이 개발한 블록 암호화 알고리즘, 128bit 비밀키로부터 생성된 16개의 64bit 라운드 키를 사용하여 총 16회의 라운드를 거쳐 ,  블록크기 128bit, 

 

AES : DES의 개인 키에 대한 전사적 공격이 가능해지고 3 DES의 성능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개발,라운드 수 : 10, 12, 14로 분류

 

비대칭 키 암호화 알고리즘

디피-헬만 : 최초의 공개키 알고리즘, 이상대수의 계산이 어려운 문제를 기본 원리로 하고 있음

RSA : 1977년 3명의 수학교수가 고안한 큰 인수의 곱을 소인수 분해하는 수학적 알고리즘 이용하는 공개키 암호화 알고리즘

 

 

해시 암호화 알고리즘

MD5 : MD4를 개선한 암호화 알고리즘, 프로그램이나 파일의 무결성 검사에 사용, 각각의 512비트짜리 입력 메세지 블록에 대해 차례로 동작하여 128비트의 해시값을 생성하는 해시 알고리즘

 

SHA-1 : 1993년 NSA에서 미 정보 표준으로 지정되었고, 160비트의 해시값을 생성하는 해시 알고리즘

 

SHA-256 : SHA 알고리즘의 한 종류로서 256비트의 해시값을 생성하는 해시함수

 

 

=================

 

IPSec : IP계층에서 무결성과 인증을 보장하는 인증 헤더와 기밀성을 보장하는 암호화를 이용한 IP보안 프로토콜

 

'정처기 실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처기 실기 서버 프로그램 구현  (0) 2023.04.14
정처기 애플리케이션 테스트관리  (0) 2023.04.12
정처기 실기 통합구현  (0) 2023.04.03